새로운 형상 제어 기술을 확립하여 종래의 진(眞)구형 미립자 외에 형상을 제어한 비진구형 입자 및 내부 구조를 제어한 다공질입자・중공입자를 개발했습니다.
비진구형 입자는 그 형상이 이방성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체 특성을 가집니다.
다공질・중공의 입자는 그 구조 상, 큰 공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통상의 입자보다 비중이 작고, 또한 광확산성이나 흡착성과 같은 특성이 향상됩니다.
독자적인 형상 제어기술에 의해 양면 볼록렌즈 형상의 비진구형 미립자의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광학필름 용도의 광확산재로써 이용한 경우에는 진구형 미립자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전광선 투과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높은 헤이즈 및 광선 투과율과 더불어 필름표면의 광택을 낮게 억제할 수가 있습니다.
양면볼록렌즈형 미립자의 개발에 성공

형상・치수 | |||
조성 | 가교폴리메타크릴산메틸 | 형상 | 양면볼록렌즈형 |
평균 입자직경 | 3~12μm(구형 환산 직경) | 평균 종횡비 | 1.2~1.8 |
※평균 입자직경 및 평균 종횡비는 상기 범위내에서 조정 가능합니다.
검토를 거듭하여 입도의 균일한 비진구형 입자를 개발했습니다.
형상의 이방성에 더해 입자가 균일하게 됨으로써 그 형상을 더욱 살린 특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구형・렌즈형과 더불어 더욱 유니크한 형상도 개발중입니다.
입도분포를 제어한 렌즈형 입자의 개발에 성공

입도가 매우 균일한 반구형 입자를 개발했습니다.
광학필름의 광확산재로써 이용할 경우에는 진구형 입자에 비해 그 직경은 절반이므로 광학 특성을 유지한 상태로 코팅층의 박층화가 가능해집니다.
또는 코팅층의 두께를 유지한 상태로 기능층을 더 추가할 수도 있게 됩니다.


신규 형상 제품으로서 종래의 양볼록 렌즈 형상, 반구 형상과 함께 양송이 형상, 진구 일부 결손 형상(오목 형상) 입자 등 다양한 형상 입자의 제작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들 신규 형상의 미립자는 광학 분야뿐 아니라 새로운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단중공
입자 내부에 하나의 공기층이 있는 단중공 입자를 개발했습니다.
저밀도이며, 또한 입자 내부의 공공(공기층)과 외각부(수지층)과의 굴절율차에 의해 일반입자에는 없는 빛의 반사특성, 확산특성을 가집니다.
MBX | 단중공 미립자 | |||
평균 입자직경(μm) | 3 | 3 | ||
첨가량(%/폴리카보네이트) | 0.5 | 1.0 | 0.5 | 1.0 |
확산도(%) | 24 | 45 | 40 | 69 |
전광선 투과률(%) | 86.5 | 77.4 | 77.5 | 59.2 |

다중공
입자 내부에 다수의 공기층을 가지는 다중공 입자를 개발했습니다. 저밀도이며, 또한 입자 내부의 공공(공기층)과 외각부(수지층)과의 굴절율차에 의해 일반입자에는 없는 빛의 반사 특성, 확산 특성을 가집니다.
MBX | 다중공 미립자 (PMMA 조성) |
SBX | |
평균 입자 직경(μm) | 8 | 8 | 8 |
첨가량(%/PMMA) | 3 | 3 | 3 |
확산도(%) | 0 | 90 | 85 |
전광선 투과률(%) | 90.1 | 48.2 | 58.8 |
